"이 나이에 뭘 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돈도 없고…"
이런 고민, 우리 모두 해봤죠. 특히 취업 준비 중이거나 알바로 하루하루 버티는 만 24세 청년이라면 더 절실할 겁니다. 그런데! 경기도에 살고 있고 만 24세라면 분기마다 25만 원, 연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이 아니면 다시는 못 받을지도 모릅니다.
청년기본소득이란?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 원씩, 1년간 총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누구든 받을 수 있습니다:
- 나이: 해당 분기 기준으로 만 24세
- 거주 요건: 경기도 3년 이상 연속 거주 or 합산 10년 이상 거주
- 소득/직업: 무관 (무직, 대학생, 프리랜서, 알바 모두 가능)
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현금지원이 아닌, 청년들의 자립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조적 지원책입니다.
지급된 지역화폐는 대형마트가 아닌 동네 상권에서만 사용되므로, 지역경제도 함께 살아나게 됩니다.
청년기본소득 신청 조건, 내가 받을 수 있을까?
청년기본소득의 핵심 조건은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 항목을 체크해보세요:
- ✔ 만 24세: 예를 들어, 2025년 3분기 기준이면 2000년 7월 2일 ~ 2001년 7월 1일생
- ✔ 거주 요건: 경기도 3년 이상 계속 거주 또는 10년 이상 합산 거주
- ✔ 신청 필수: 자동 지급 아님! 반드시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음
신청은 경기도청이 운영하는 잡아바(jobaba.net)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신청 서류는 주민등록초본,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 등 간단하며, PC·모바일 모두 가능해요.
지급 방식과 지역별 차이, 이것도 알아두세요
청년기본소득은 경기지역화폐 형태로 지급되며, 실물카드 또는 모바일 앱(예: 시흥 ‘Chak’, 김포 ‘김포페이’)으로 사용됩니다.
💡 2025년부터 변경된 사항 - 예전에는 거주 시·군 내에서만 사용 가능했지만, 이제는 경기도 전역 사용 가능 - 단, 유흥업소·노래방 등 일부 업종은 사용 제한
대부분의 카페, 음식점, 편의점, 병원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며, 타 시군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습니다.
분기별 지급일 예시:
- 3분기 신청(7월 1일 ~ 7월 31일): 9월 10일 전후 지급
- 4분기 신청(10월 15일 ~ 11월 14일): 12월 20일 전후 지급
마무리하며 – 만 24세에게 주는 단 한 번의 기회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기회가 아닙니다. ‘만 24세’라는 단 한 번뿐인 나이대에, 조건만 맞으면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강력한 지원정책입니다.
이 글을 보신 분이라면 지금이 바로 행동할 시간입니다. 신청 기간은 짧고, 한 번 놓치면 다시는 받을 수 없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신청 일정과 방법, 자주 묻는 질문 등을 정리해서 소개해드릴게요.
지금 바로 내 조건에 맞는지 확인해보고, 필요한 서류도 미리 준비해두세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Tag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