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법, 실제 예시로 쉽게 정리했습니다

처음엔 단순히 “수익 나면 세금 낸다더라” 정도만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직접 신고하려 하니 환율, 공제, 기준 시점 등 생각보다 복잡했습니다. 저처럼 막막했던 분들을 위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예시와 함께 정리해봤습니다.




.



양도소득세, 어떻게 계산되는지 기본부터 이해해봅시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연간 수익에서 250만 원을 공제한 후, 초과 금액에 대해 22% 세율을 적용합니다. 중요한 기준은 '1년 합산 수익'입니다. 즉 여러 종목, 국가의 주식을 매매해도 모두 더한 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수익은 달러 기준이 아니라 '매도일의 원화환산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1,000달러를 벌었고 매도일 환율이 1,300원이면 원화 수익은 130만 원입니다. 이때 250만 원을 넘는지 여부가 과세 판단 기준이 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계산 구조가 성립됩니다: 양도차익 – 250만 원 × 22% = 실제 세금. 이 공식을 바탕으로 다음 항목에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예시로 알아보는 실제 세금 계산


단순히 '22% 세금'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환율, 공제액, 손실여부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아래는 수익별 세금 계산 예시입니다.

  • 수익 300만 원 → 과세 대상 50만 원 → 세금 약 11만 원
  • 수익 500만 원 → 과세 대상 250만 원 → 세금 약 55만 원
  • 수익 1,000만 원 → 과세 대상 750만 원 → 세금 약 165만 원

제가 처음 세금 계산을 시도했을 땐 이 수치만 보았고, 손익 통산이나 환율 개념은 잘 몰랐습니다. 하지만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양도소득 자료를 보면서 차근히 계산하니, 구조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절세 포인트: 손실 주식도 세금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


절세를 위해 기억해야 할 핵심은 ‘손익 통산’입니다. 수익이 난 종목뿐 아니라, 손실이 난 종목도 함께 정리하면 전체 세금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수익 400만 원, 손실 100만 원이 있다면 실제 과세 대상은 400 - 100 - 250 = 50만 원입니다.

저도 처음엔 손해 본 주식을 매도하지 않았는데, 신고 전 일부 손실 주식을 매도함으로써 실제 세금 부담이 훨씬 줄었습니다. 단, 연도 내 정리해야 손익 통산이 가능하다는 점은 꼭 기억하세요.


.



요약: 세금 계산 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5가지


  • 250만 원 기본공제는 1년 전체 수익 기준
  • 환율은 매도일 기준 고시환율로 자동 적용
  • 모든 해외주식 수익은 통합 계산
  • 손익통산을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음
  • 정확한 계산은 증권사 제공 자료로 확인

세금 계산은 복잡할 수 있지만, 구조만 파악하면 의외로 간단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미래에셋증권 기준으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어떻게 진행하는지, 실제 캡처화면과 함께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