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이음공제, 참여하고 싶은데 신청 방법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절대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기업이라면 '세대이음 고용지원금'이라는 엄청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지금 이 글에서 단계별로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2025 서울형 이음공제 신청 일정과 방법 총정리
2025년 서울형 이음공제 신청은 8월 1일(목) 오전 9시부터 시작됩니다.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 온라인 접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 우편 접수: (52851)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430,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팀
신청 대상은 서울시민인 청년(만 19~39세)과 중장년(만 50~64세)입니다.
기업은 서울에 본사를 둔 중소·중견기업이어야 하며, 근로자는 해당 기업에서 신규 또는 재채용된 인원이어야 합니다.
※ 나이 계산은 출생연도 기준: 2025 - 출생년도
세대이음 고용지원금으로 기업 부담 0원 만들기
청년과 중장년을 ‘한 쌍’으로 채용한 경우, 기업이 납부한 공제금이 전액 환급됩니다. 이게 바로 2025 서울형 세대이음 고용지원금입니다. 환급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중장년 동시 채용 (2025년 기준)
- 모두 이음공제에 가입할 것
- 1년간 고용 유지 시 기업 납입금 100% 환급
환급 금액 예시:
- 청년: 8만 원 × 12개월 = 96만 원
- 중장년: 동일 → 총 192만 원 환급
- 기업당 최대 3쌍까지 가능
→ 최대 연간 576만 원 환급
📌 이 제도를 통해 3년간 고용을 유지하면, 환급액은 최대 1,728만 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사실상 공제금 부담 없이’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셈입니다.
주의사항과 준비서류, 실수 없는 신청을 위해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① 중복 참여 불가 동일 기간 다른 정부 공제사업(예: 청년내일채움공제)과의 중복 가입은 불가합니다. ② 고용형태 확인 청년은 반드시 정규직, 중장년은 비정규직도 가능하지만 보험 가입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60세 이상은 국민연금 제외 가능)
③ 기본 서류 목록 예시
- 사업자등록증
- 근로계약서 (청년: 무기계약 조건 필수)
- 고용보험 가입증명서
- 서울시 주민등록 초본
- 이음공제 신청서 및 매칭 확인서
자주 묻는 질문도 확인해보세요.
- Q. 퇴사 시 어떻게 되나요?A. 근속 기간에 따라 환급 비율이 달라지며, 조기 퇴사 시 일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Q. 기업이 중간에 해지하면?A. 해당 쌍의 환급은 불가하며, 조건 충족 기간만 계산됩니다.
- Q. 중장년이 정년을 앞두고 있으면?A. 고용 유지가 어렵다면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사전 검토 필수입니다.
지금 신청하지 않으면 놓칠 수도 있습니다
서울형 이음공제는 단순한 취업 보조금 제도가 아닙니다. 근로자에게는 목돈, 기업에는 재정 혜택과 기술 계승이라는 ‘윈윈 구조’를 제공합니다. 무엇보다 예산 소진 방식으로 운영되므로, 미루면 신청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8월 1일부터 시작되는 신청, 지금부터 준비하셔야 합니다. 다
Tag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