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형 이음공제 완벽 해설|청년·중장년 모두 목돈 마련 가능한 고용정책

취업이 어려운 청년, 재취업이 막막한 중장년, 그리고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까지—모두가 고민입니다. 서울시는 이 세 가지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 위해 ‘서울형 이음공제’를 시작합니다. 안정된 직장과 목돈 마련의 기회, 지금 잡아보세요!



정보 안내 썸네일 (정보 제공 목적)




서울형 이음공제란? 청년과 중장년을 잇는 고용연계 제도


서울형 이음공제는 2025년 8월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고용 지원정책으로, 서울시민 청년(만 19~39세)과 중장년(만 50~64세)을 서울 소재 중소기업에 함께 채용할 경우 다양한 재정적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 정책은 단순한 취업 지원이 아닌, 다음의 목적을 갖고 설계되었습니다:

  • 청년에게 장기 재직 유도 및 목돈 마련 기회 제공
  • 중장년에게 재취업 및 기술 전수 기회 제공
  • 기업에게는 숙련 인력 확보 및 고용 유지 시 지원금 환급
세대 간 상생 고용을 실현하는 국내 최초의 ‘세대연계형 공제제도’로, 청년은 미래를, 중장년은 경력을 이어갈 수 있는 든든한 제도입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대상 조건 정리


이음공제의 지원 대상은 명확합니다. 아래에 해당된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① 청년 이음공제

  • 서울시 거주 청년 (만 19~39세)
  • 2025년 신규 채용, 4대 보험 가입된 정규직
  • 해당 기업에 6개월 이내 근무 이력 없어야 함
② 중장년 이음공제
  • 서울시 거주 중장년 (만 50~64세)
  • 2025년 신규 또는 재채용
  • 3대 보험 이상 가입, 비정규직도 가능
  • 60세 이상은 국민연금 가입 제외 가능
기업 요건도 있습니다:
  • 서울 소재 중소·중견기업
  • 기업당 최대 청년 7명, 중장년 3명까지 참여 가능
기업과 근로자 모두 요건에 부합할 경우, 3년간 공제금 납입을 통해 거치 후 목돈을 수령하게 됩니다.

납입 구조와 혜택은? 3년간 총 얼마 받나요?


서울형 이음공제는 참여자가 직접 매달 10만 원을 납입하고, 정부·서울시·기업이 각각 8만 원씩을 함께 납입하는 구조입니다. 

  📌 총 월 적립액: 34만 원 × 36개월 = 약 1,224만 원 + 이자 납입 구조 요약:

  • 근로자: 100,000원
  • 기업: 80,000원
  • 서울시: 80,000원
  • 정부: 80,000원
총 3년 후 근로자 본인 명의로 전액 환급됩니다. 이 목돈은 자산 형성, 창업, 주거자금, 자녀 교육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추가 혜택: 세대이음 고용지원금 기업이 청년+중장년을 동시 채용한 경우, 1년 이상 고용 유지 시 해당 기업 부담금 전액(1쌍당 연 192만원)이 환급됩니다. 최대 3쌍까지 혜택 가능하여, 기업 입장에서도 실질적 부담 없이 인력 확보가 가능합니다.







마무리


서울형 이음공제는 단순한 취업 정책이 아닙니다. 청년에게는 첫 직장의 기회를, 중장년에게는 경력의 연속을, 기업에게는 기술 계승과 인력 유지를 동시에 안겨줍니다.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입니다.

※ 2025년 9월 10일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다음 이전

POST ADS1

이 사이트 페이지의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사이트 페이지의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